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공학/운영체제

세그먼트

반응형

가상 메모리를 실제 메모리로 할당하기 위한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페이징 기법, 나머지 하나가 세그먼트 기법이다. 세그먼트 기법은 페이징 기법과 다르게 논리적인 단위로 끊는 방식이다. 페이징 기법은 4KB 를 끊어서 했다면 세그먼트는 의미를 가지는 단위별로 끊는 방식이다.

세그먼트는 CS(Code Segment), SS(Stack Segment), DS(Data Segement), ES(Extra Segment)로 나눠서 관리한다.

예로는 부팅 시 프로그램을 간단히 가지기 위해 세그먼트로 나누고 있다.

 

세그먼트도 페이지 기법과 유사하게 실제 메모리 접근을 하는 방법은 세그먼트 번호, 세그먼트 변위를 두고 해당 테이블에 접근하여 실제 메모리로 접근하는 것이다.

 

페이지기법은 4KB 단위로 자르다보니 딱 맞게 채워지지 않을 때 공간을 낭비한다는 내부 단편화의 단점이 있고 세그먼트는 세그먼트 단위로 자르다보니 실제 메모리에 할당할 공간보다 크거나 연속적이지 않을때의 외부 단편화의 문제점이 있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다양한 CPU를 지원해야되다보니 페이지기법으로만 사용하고 있다.

반응형

'컴퓨터공학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ode 방식과 파일시스템  (0) 2019.11.27
파일시스템  (0) 2019.11.27
페이지교체 알고리즘  (0) 2019.11.27
페이지폴트  (0) 2019.11.27
다중페이징시스템  (0) 2019.11.26